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이번 주 목요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금융권은 중국발(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확실해진 데다 물가도 비교적 안정을 찾은 만큼, 한은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2%p까지 벌어진 한·미 금리차와 가계대출 문제까지 다시 부각되고 있다는 점은 변수로 꼽힌다.
한은 금통위는 오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이하 통방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국내 기준금리는 현재 3.5% 수준으로 지난 1월 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네 차례 연속 동결됐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지난 2·4·5·7월에 이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과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투명한 만큼, 한은이 소비·투자 위축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감수하면서까지 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최근 중국 GDP의 25%를 차지하는 부동산시장이 빠르게 얼어붙으면서 중국 경제가 위기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 최대 무역국으로 중국의 경기 침체는 수출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미 우리나라의 7월 대중국 수출 증가율은 -14.5%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24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한다"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7%는 중국 수요로부터 나오는데, 중국 경제의 부진으로 성장률의 하방 리스크가 확대됐다"고 봤다.
한은이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물가 또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2.3% 오르며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도 전월보다 0.2%p 낮아진 3.3%를 기록했다.
다만 2%p까지 벌어진 한·미금리차는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역대 최대(2%p)로 벌어졌다.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도 고민거리다. 지난달 말 기준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6조 원 증가한 1068조 1000억 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치로,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감소세를 보이던 은행권 가계대출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통방회의 이후 "가계부채가 확대 국면이라 예상 밖에 많이 늘어난다면 기준금리뿐 아니라 규제를 강화한다든지 하는 옵션(선택지)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가계부채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어 경기 침체가 지속되더라도 연내 기준금리 인하는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 총재도 지난달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이야기하기 어렵다"면서 "금리가 내려갈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고 선을 그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한은, 기준금리 '5연속 동결' 유력…늘어나는 가계부채 변수 - 경기신문 )https://ift.tt/1Z7fJG3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한은, 기준금리 '5연속 동결' 유력…늘어나는 가계부채 변수 - 경기신문"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