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와 관련, “금융권은 대출과 투자 기준을 바꾸어 기업들이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며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ESG를 고려한 투자가 그 사례”라고 강조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UN의 책임투자원칙에 가입한 기관 투자자는 3000여개에 이른다. 글로벌 ESG 펀드 자산규모는 2조 달러, 녹색책권 발행규모는 1500억달러에 이른다.
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녹색금융 활성화 노력을 소개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정책금융기관의 녹색분야 자금지원 비중을 2030년까지 현재 2배 수준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ESG 정보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도 추진한다.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 해외 신규 석탄발전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 중단을 선언했다. 금융위는 최근 ‘녹색금융을 위한 중앙은행·감독기구 간 글로벌 협의체(NGFS)’에 가입을 신청했다. 또 13개 금융 공공기관과 함께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CFD)’ 및 TCFD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은 위원장은 그럼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했다. 크게 3가지 격차를 꼽았다.
먼저 ‘펀딩 갭(funding gap)’이다. 탄소중립을 위해선 녹색분야로 대규모 자금이 투자되어야 하는데, 공공재원 뿐 아니라 민간자금과 다자개발은행 참여가 필요하다. 은 위원장은 “최근 녹색분야에서 ‘혼합금융(Blended Finance·민간재원과 공공재원의 혼합)’이 주목받는 것도 펀딩 갭에 대한 우려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데이터 격차(data gap)’도 문제다. 은 위원장은 이른바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환경주의)’을 방지하고 녹색자금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선 개별 기업이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협과 탄소중립 경제 전환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기후변화 관련 공시는 아직 투자자들이 원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격차’도 해결 과제로 꼽았다. 지난 2010년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6)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씩 조성키로 했지만 실제로는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국은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 속도가 늦기 때문에 앞으로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후대응 격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은 위원장은 “한 국가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해도 다른 나라가 계속 탄소를 배출한다면 기후위기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인류가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선 국제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그는 한국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방역물자와 방역경험을 전세계와 공유한 것처럼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했다.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은성수 "탄소중립, 공공자금에 민간자금 역할 필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9일 - 이데일리 )https://ift.tt/3c4do1T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은성수 "탄소중립, 공공자금에 민간자금 역할 필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9일 - 이데일리"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