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과세수 20조~30조 예상되자
윤호중 “재정여력 돌려드리는 것”
전망치 낮게 잡은 착시효과일 수도
올해 세수, 작년보다 3조 적은 규모
1원 쓰면 경제부양효과 0.2~0.3원
현금 뿌리기보다 국가채무 상환을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재정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월(1분기) 정부가 거둬들인 세금(국세)은 88조5000억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9조원 늘었다. 1분기 세수가 80조원을 넘어선 건 올해가 처음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주요 산업의 실적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고 ▶부동산 관련 세금이 많이 늘어난 점 등이 세수 증가로 이어졌다.
추경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 효과에 의문을 갖는 전문가들도 있다. 초과 국세 수입이 얼마가 되든지 결국 민간의 돈을 정부가 거둬간 뒤 다시 쓰는 것이다. 건전한 경제 발전을 위해 ‘큰 정부’(재정지출 확대)가 좋으냐, ‘작은 정부’(재정지출 축소)가 좋으냐는 경제학자들이 오랫동안 논쟁을 벌여온 사안이다. 경제학자들 사이에선 재정지출 확대는 결국 민간 소비와 투자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추경에서 1원을 썼을 때 실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효과는 0.2~0.3원에 그쳤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초과 세수란 것도 결국은 기업과 가계가 열심히 번 돈”이라며 “국가재정법에서 초과 세수는 국가채무 상환에 먼저 쓰게 돼 있는데 여당은 이 원칙을 어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정부에 “고령화로 인한 부채 폭발에 대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IMF는 한국의 국가채무 비율이 올해 국내총생산(GDP)의 53.2%에서 2026년 GDP의 69.7%로 뛰어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는 연간 재정적자 비율은 GDP의 3%, 국가채무 비율은 GDP의 60%로 묶어놓는 재정준칙을 마련했지만 2024년까지는 적용하지 않는다.
최근 물가가 큰 폭으로 뛰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추세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정부가 무턱대고 돈을 풀었다가는 물가와 시장금리의 상승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했다. 지난 2일에는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2018년 1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연 2.2%대로 뛰어올랐다. 한국은행은 아직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연 0.5%)으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는 상황에 따라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를 감당할 수 없는 기업이나 가계가 큰 어려움에 놓일 수 있다.
최근 물가 상승을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정부는 지난해 상반기 물가 수준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기저효과와 일시적 공급 충격”을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김동원 전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는 “(정부가) 2차 추경으로 또 재정을 푼다면 국내 물가를 자극해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기여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출 주도로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추경까지 편성하며 위로금 지급을 서두르는 게 납득이 안 된다”며 “내년 대선을 염두에 둔 정치적 목적을 제외하면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조현숙 경제정책팀 기자 newear@joongang.co.kr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View & Review] 세금 더 걷혀 전 국민 위로금? 1000조원 나랏빚은 어쩌고 - 중앙일보 - 중앙일보 )
https://ift.tt/3yZTNKd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View & Review] 세금 더 걷혀 전 국민 위로금? 1000조원 나랏빚은 어쩌고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