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인사청문회 당시 국회에 제출한 재산신고내역에 따르면 원 장관은 총 2억3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보험 납입액이 2억2000만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납입한 보험금을 펀드 등에 투자하고 성과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변액보험이 약 1억9000만원이었다. 원 장관의 배우자 역시 약 7억4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보험액이 3억9000만원에 달했으며 변액보험 액수는 약 2억8000만원이었다.
변액보험은 비과세 혜택 덕분에 투자처로서 매력도 존재하지만 10년 이상 돈을 넣어둬야 하는 탓에 원 장관처럼 금융자산의 대부분을 묶어두는 것은 드문 사례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가구의 금융자산 가운데 저축성·보장성 보험(변액보험을 포함한 수치) 비중은 21.1%에 그친다.
원 장관의 보험 투자는 이처럼 재테크 측면만 놓고 보면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자산운용 방식이지만,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를 감안하면 불필요한 정치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변액보험을 활용할 경우 어떤 펀드에 돈을 넣어뒀는지 투자처가 직접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현행 공직자 재산공개 제도에서 공직자가 직접 투자한 주식·펀드는 종목단위로 신고가 상세히 이뤄지는 반면 변액보험을 통한 투자는 단순히 보험납입액으로만 신고된다.
자산관리 업계에서도 공직자 고객에게 투자처가 가려지는 변액보험을 추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시중은행 PB팀장은 "공직자들은 문제가 될 투자가 아니라도 특정 분야에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는 것 자체를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며 "재산내역 공개대상인 고위공직자들은 이런 경향이 더욱 심하고, 이를 감안해 공직에 있는 고객에게는 변액보험처럼 투자처가 드러나지 않는 상품을 권유한다"고 전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약 5억1000만원의 금융자산 가운데 3억8000만원가량을 연금상품에 넣어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 부부의 경우 약 6억원의 금융자산 중 보험납입액이 3억원을 넘겼지만 대부분이 실제 보험 수요에 의한 상품이었으며, 사망보험금 대신 연금 형태로 보험금을 받는 상품을 적극 활용 중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내외도 변액보험에 억대의 자금을 납입해뒀지만 이들은 각각 100억원대, 수십억 원대 자산가여서 전체 금융자산에서 변액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례적으로 높지는 않았다.
[문재용 기자 / 서정원 기자 / 명지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qUt7gXJ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서울에 집없는 원희룡, 금융자산 대부분 여기에 몰빵했다 [WEALTH] - 매일경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