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兆 누적 영업적자…스마트폰 사업 철수 가닥
오는 5일 LG전자 이사회서 공표 전망
인력 재배치·특허기술 활용방안 방향성 초점
피처폰 영광에…스마트폰 혁명 뒤처진 죄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 결국 스마트폰 사업 철수로 가닥이 잡힌 LG전자에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14년 전 스마트폰 혁명 초기 대응에 실패하면서 5조원대 누적 적자를 안고 최종 퇴로를 마련합니다. 사업은 없어져도 사람은 남는 법, 3700여명 사업부 인력을 '어떻게, 잘' 배치할 것인지는 또 다른 중요한 숙제입니다.
LG전자는 오는 5일 이사회에서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사업본부의 사업계획을 공식 발표할 전망입니다. 사업의 '완전 철수'가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3700여명에 달하는 인력 재배치 문제와 핵심 기술과 특허권의 활용 방향성은 공개된 바 없습니다.
두 달간 회사 경영진이 인수 의향을 보인 글로벌 기업들과 협상을 벌였지만 조건 차이 등으로 큰 소득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사업 매각 논의가 진행됐지만 진척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이후로는 시장에서도 특별한 얘기가 나오지 않고 있어 공식 발표만 기다리고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화웨이, 샤오미, 오포 등 중국 스마트폰 경쟁사들의 공세에 인수합병(M&A) 매물 운도 좋지 않았습니다. 물밑 접촉 대상도 여러 차례 바뀌었습니다. 가장 유력하다고 점쳐졌던 베트남 빈그룹은 미국 사업부 부분 인수를 검토했지만 직접 진출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스마트폰 기업까지 인수 협상에 나섰다는 소식이 외신발로 나오기도 했습니다.
회사 내부서도 자조적인 시각이 강합니다. 2020년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적자로 영업적자 누적 5조원대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LG전자는 감사보고서에서 "스마트폰 사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혁신 제품 출시 등 각고의 노력을 했지만 의미 있는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개선을 이루지 못했다"고 인정했습니다. LG전자가 상반기 전략 제품으로 예고한 '레인보우' 프로젝트와 차기 폼팩터 '롤러블' 등의 개발도 사실상 중단된 상황입니다.
과거 '프라다폰', '초콜릿폰', '샤인폰' 등 블랙라벨 시리즈를 성공시킨 LG전자의 휴대폰 사업이 침체된 데는 2010년으로 접어들 무렵 경영진의 사업 판단 오류가 주효했습니다. 애플이 2007년 iOS 기반의 아이폰을 출시하며 스마트폰 혁명을 주도할 때도 LG전자는 과거 피처폰의 영광에 안주했습니다. 스마트폰의 영향을 과소평가한 유명 컨설팅업체 맥킨지앤드컴퍼니의 조언을 귀담아 듣는 실수도 범했습니다. 경쟁사 삼성이 스마트폰의 핵심인 UI·UX에 투자할 때도 말입니다.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기준 국내 삼성전자 시장점유율(MS)은 70%를 넘은 반면 LG전자는 9%대로 감소했습니다.
물론 LG전자는 '옵티머스G' 등 기술에 초점을 둔 스마트폰 제품들로 반격을 꾀하기도 했습니다. 내부 위기감이 커지면서 고(故) 구본무 전 LG그룹 회장의 지시로 만든 일명 '회장님폰'으로 불린 옵티머스G를 2012년 출시하며 초기 호응을 얻기도 했습니다. 옵티머스G는 퀄컴 LTE 기반 쿼드코어 스냅드래곤 S4 프로를 세계 최초로 탑재한 스마트폰이기도 합니다. 'LG V40' 역시 메인·광각·망원 렌즈로 구성된 트리플 카메라 구성을 갖췄던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이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람입니다. 지난 두 달여간 권봉석 LG전자 사장은 외부로는 글로벌 매각 협상자를 찾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3700여명에 달하는 인력 재배치 문제 등 집안 살림까지 고민이 많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력 재배치는 4월 이사회에서 사업 방침을 확정하고 사내에 공유한 직후 곧바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존 MC사업본부 소속 인력 약 3700명은 올 상반기 내 타 사업부 또는 LG유플러스, LG에너지솔루션, 오는 7월 출범을 앞둔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등 계열사로 전환 배치될 전망입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관련 특허권 등 핵심 기술은 내재화하고 미래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에 나설 것으로 점쳐집니다.
LG그룹 계열사 분위기도 어수선합니다. 핵심 개발 업무를 제외한 이들은 업무가 겹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LG전자 MC사업본부 내 인력 상당수가 개발자가 아닌 사무직이라고 들었다. 기존 계열사 임직원들 역시 인력 대이동과 관련 걱정이 많다"고 토로합니다.
"사업 운영 방향이 어떻게 정해지더라도 원칙적으로 구성원의 고용은 유지되니 불안해 할 필요 없다." 지난 1월 20일 스마트폰 사업 포기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직원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애쓴 권봉석 사장입니다. 5일 이사회에서 어떤 결단이 내려질 지 주목됩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부동산114, 3월 마지막주 수도권 아파트 가격 동향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지난 1년 동안 급격히 오른 전세가격이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이다. 서울에서는 전셋값이 하락 전환하는 자치구가 늘고 있고, 신도시는 1년8개월 만에 평균 전세가격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다만 이 같은 흐름이 추세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시장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3월 마지막주 수도권 신도시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 신도시 전셋값이 떨어진 것은 2019년 8월 셋째주(-0.02%) 이후 20개월 만이다.
신도시는 위례와 동탄이 전주 대비 0.06% 하락해 마이너스 변동률을 이끌었다. 위례는 위례포레자이와 힐스테이트북위례 등의 입주를 앞두고 창곡동 위례센트럴푸르지오 등에서 최대 1000만원 하락했다. 동탄은 반송동 시범한빛한화꿈에그린 등에서 2000만원이 내렸다. 김포한강과 평촌도 각각 0.04%, 0.03% 하락했다.
서울 전세시장 역시 하락 전환하는 자치구가 간간이 나오고 있다. 강동구는 전주 대비 0.06% 하락해 5주 연속 하락세를 키워가고 있다. 노원과 구로도 전세매물이 더디게 소진되면서 전주 대비 각각 0.03%, 0.01% 떨어졌다. 3월 들어 송파와 강남, 금천구도 한 때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0.03% 올라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서(0.11%) ▲강북(0.1%) ▲관악(0.1%) ▲도봉(0.1%) 순으로 올랐다.
경기·인천은 전주 대비 0.07%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의정부가 0.28%로 가장 많이 올랐고, 오산(0.25%), 시흥(0.19%) 순이었다. 반면 하남은 전주 대비 0.03% 하락했고, 의왕과 성남도 전세수요 감소로 각각 0.02% 떨어졌다.
매매시장은 상승폭이 축소됐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7% 올랐다. 일반 아파트가 0.08% 올랐고, 재건축 아파트는 0.02% 상승해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대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도봉구가 전주 대비 0.35% 올라 상승장을 이끌었다. 부동산114는 "GTX-C 노선 등 호재가 있는 창동역 인근 집값 오름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북(0.19%) ▲송파(0.14%) ▲동작(0.13%)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0.04% 상승했다. 전세가격이 하락한 평촌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중동(0.08%), 산본(0.07%), 일산(0.06%) 순이었다. 경기·인천은 전주 대비 0.11% 올랐다. 오산이 0.22%로 가장 많이 올랐고, 안산도 상록수역이 GTX-C노선 정차역으로 거론된 후 0.21% 상승하는 등 상승세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전세시장은 학군수요가 마무리되면서 수요가 줄어든 반면 대규모 입주가 진행되면서 국지적인 약세를 나타냈다"며 "2분기에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하는데다 보유세 부담에 따른 월세 전환으로 전세매물이 감소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어 시장상황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매매시장은 당분간 숨고르기 양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여 수석연구원은 "2.4 대책 이후 불거진 매수자 관망세가 금리상승과 보유세 부담과 맞물려 확산되고 있지만 시중에 매물이 많지 않은데다 집주인들이 호가를 고수하며 상승세는 이어졌다"며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규제완화 발언이 잇따르자 일단 지켜보자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3일 첫 경기 앞두고 "야구판 키우겠다" 자신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롯데를 싫어해서 깐 게 아니라 야구판을 키우고 싶었다. 전국민이 신세계와 롯데가 싸우는 걸 봤으면 좋겠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또다시 소셜미디어 '클럽하우스'에 등판했다. 지난달 클럽하우스 SSG랜더스 관련 방에 깜짝 등장해 롯데를 도발하는 발언을 쏟아낸지 사흘만이다.
정 부회장은 2일 클럽하우스 대화에서 자신이 불을 지핀 신세계와 롯데의 경쟁에 대해 "상대방을 자극해야 야구의 판이 커진다"고 강조했다. 라이벌 팀을 만들어야 주목을 받고 관심이 쏠린다는 의미다. 그는 "평소 야구를 모르고 보지 않던 소비자들도 롯데랑 신세계가 싸운다는 기사가 나면 야구를 알게 되고, 보게 된다"고 말했다.
앞서 정 부회장은 지난달 30일에도 롯데를 자극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롯데를 향해 "본업(유통)과 야구를 서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신세계)는 본업과 연결할 것이다. 게임에선 우리가 질 수 있어도 마케팅에서만큼은 반드시 이기겠다"고 말했다. "걔네(롯데)는 울며 겨자 먹기로 우리를 쫓아와야 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정 부회장의 이같은 발언에 롯데그룹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내부적론 상당히 심기가 불편한 기색이다. 정 부회장도 이를 의식한 듯 2일에는 "롯데가 미운게 아니다. 롯데는 우리의 30년 동반자다. 롯데 덕분에 우리도 크고 롯데도 우리 덕분에 같이 커왔다"고 추켜세웠다.
하지만 두 기업의 신경전은 이미 대형 마케팅 경쟁으로 번진 상태다. 롯데마트는 지난달 29일 연중 최대 규모로 진행하는 4월 할인 행사를 홍보하며 제목을 "야구도 유통도 붙어보자"라고 했다. 이후 30일 정 부회장의 클럽하우스 발언 내용이 알려지고, 이마트는 31일 야구단 창단을 기념한 상반기 최대 할인 행사인 '랜더스 데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다시 롯데가 불을 질렀다. 롯데는 1일 롯데온(ON) 홈페이지에 개막전 기념 이벤트 소식을 전하며 "원정 가서 쓰윽 이기고 ON"이라는 문구를 넣었다. '쓰윽'은 SSG랜더스를 빗댄 말이다. 개막전이 SSG랜더스 홈구장에서 열리는 만큼 원정 경기에서 승리하고 돌아오라는 뜻이다.
정 부회장은 "내가 의도한 대로 롯데가 반응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롯데가 SSG보다 전력이 좋다. 하지만 변수는 있다. 롯데 상대로 연패는 안된다"며 승리에 대한 각오를 다졌다.
두 유통 라이벌은 3일 오후 2시, 인천 SSG랜더스필드(옛 문학구장)에서 열리는 2021 한국프로야구(KBO) 개막전에서 정면 승부를 펼친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https://ift.tt/3uiHJjZ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전운 감도는 LG전자…3700명 운명도 갈린다 [차민영의 포스트it] - 아시아경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