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웍스=전다윗 기자] 오뚜기의 '라면값 인상' 결정에 소비자단체들이 반발했다. 오뚜기가 밝힌 인상 근거가 부실하고, 라면 업계 '도미노 인상'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며 인상 철회를 요구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22일 "오뚜기의 라면 가격 인상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협의회는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한국소비자연맹 등 11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협의체다. 지난 1976년 설립됐다.
앞서 최근 오뚜기는 오는 8월부터 진라면 등 주요 라면 제품 가격을 평균 11.9% 인상한다고 밝혔다. 오뚜기가 라면값을 올린 건 지난 2008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앞서 오뚜기는 지난 2월에도 진라면 가격을 9%가량 올리려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취소한 바 있다.
이에 따라 8월부터 진라면 출고가는 684원에서 770원으로 12.6%, 스낵면은 606원에서 676원으로 11.6% 오른다. 육개장은 838원에서 911원으로 8.7% 인상된다.
협의회는 "오뚜기가 최근 주요 라면 가격을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식품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한다"며 "이에 주요 원재료 가격의 변동 추이 및 오뚜기 재무제표를 분석했지만,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라면 원재료인 소맥분 및 팜유 수입 가격은 지난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하락 추세였다. 소맥분은 지난해 ㎏당 326.3원에 수입됐는데 이는 2012년과 비교해 18.0%, 2013년과 비교해 22.0% 하락한 가격"이라며 "아울러 전년 동기 대비 소맥분 가격이 치솟고 있다는 언론보도와 달리 지난 6월 소맥분 수입 가격은 ㎏당 평균 358.2원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4.5% 상승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팜유 역시 지난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3.9%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평균 가격은 813.0원으로 2019년(641.1원)과 비교할 땐 26.8% 상승한 수치이지만, 2012년(1163.3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30.1% 하락했다"며 "올해부터 소맥분 및 팜유가 계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는 있다. 하지만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에 비추어 볼 때, 오뚜기가 원재료 가격이 올라갈 때는 가격 인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하락 시에는 곧장 기업의 이익으로 흡수하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가격 인상 이유인 인건비 상승의 근거도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협의회는 "오뚜기 매출 원가 및 판매 관리비에서 종업원 급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비중은 7.4%로 2019년과 비교해 0.4%p 줄었다. 올해 1분기는 6.8%로 지난해보다 0.6%p 낮다. 인건비 금액은 영업 규모 증가에 따라 상승하는 추세지만, 충분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회사 입장에서 원가 압박의 요인이라 보기 어렵다. 또 인건비가 비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아니므로, 이번 라면 가격 인상이 인건비 상승 때문이라는 오뚜기 주장은 근거가 미약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협의회는 오뚜기의 이번 가격 인상이 라면 업계 도미노 인상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협의회는 "라면은 서민물가를 책임지는 대표 품목이다. 정부도 라면 가격 인상을 물가안정의 기초로 삼을 만큼 소비자 식생활에서 라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상징적 품목"이라며 "오뚜기의 이번 가격 인상이 다른 라면 제조업체들의 연쇄적 가격 인상의 신호탄이 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어 "원재료 가격이 떨어질 때에는 꿈쩍도 하지 않다가 원재료 가격이 평년보다 상승하는 시기를 틈타 소비자 가격을 올려버리는 기업들의 행위를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미 다양한 시장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오뚜기는 서민 대표 식품을 제조하는 기업답게 사회적 책임을 지고 이번 가격 인상을 재검토하길 촉구한다. 서민물가 안정화를 책임진다는 정부 또한 물가 안정화를 위한 감시 역할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ft.tt/3zqlWcN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소비자단체협의회 "오뚜기, 라면값 인상 근거 미약…사회적 책임지고 재검토해야" - 뉴스웍스"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