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 브리핑에서 윤성원 국토교통부 1차관이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광명·시흥에 총 7만 가구(대지면적 1271만㎡) 규모의 6번째 3기 신도시가 들어선다.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다. 부산대저(243만㎡,1만8000가구)와 광주산정(168만㎡,1만 3000가구)에도 신규 택지도 각각 조성된다. 3곳을 합친 공급 규모는 총 10만 1000가구다. 24일 국토부는 이런 내용의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2·4 대책에서 2025년까지 수도권 18만 가구 등 전국에 26만 3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신규 택지를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윤성원 국토부 1차관은 "충분한 주택공급을 통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를 지원함으로써 주택시장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는 어느 때보다 확고하다"며 "앞으로도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주택 공급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날 추진 계획 발표에서 나온 질문과 국토부 윤성원 1차관과 김규철 공공주택추진단장의 답변을 정리했다.
- 광명·시흥 철도 개통 계획은?
- 신규 공공택지 입주는 언제쯤인가.
- 2018~2019년 3기 신도시 지정 당시 광명·시흥도 유력한 후보지였는데.
- 서울 강남 집값 안정이 시급한데, 서남권 공급이 영향을 미칠까?

국토교통부는 24일 브리핑을 열어 수도권 주택 공급을 확충하기 위해 광명 시흥을 6번째 3기 신도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나온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로, 서울과 인접한 서남부축 발전의 거점이 되는 자족도시로 조성된다. 연합뉴스
- 3기 신도시 주민 반발도 여전하다. 토지 보상 문제 등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건가.
- 광명·시흥은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지정됐다 해제된 후 3기 신도시로 다시 지정됐는데.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https://ift.tt/2ZMqOcy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광명·시흥 2023년 사전청약···"서울까지 20분, 경전철 검토"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