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0.5% 금리에 6차례 추경 '100조 돈풀기'
인플레이션·민간투자 위축 등 부작용 우려
고압경제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이 중앙은행(Fed)을 이끌던 2016년 처음 언급한 단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가 저성장·저물가 국면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자 꺼내든 거시 경제정책 전략이다. 성장에 대한 신뢰를 민간에 심어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준의 돈을 풀어 기업이 투자에 나서게 하고, 성장과 물가 상승의 선순환으로 이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저금리를 수십 년간 지속하고도 저성장을 탈피하지 못한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을 강조한다. 기준금리를 연 0~0.25%로 끌어내린 Fed가 무제한 양적완화를 지속하는 가운데 조 바이든 정부가 수조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쏟아내는 것은 이 같은 전략의 연장선에 있다.
한국도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고압경제 정책을 펴고 있다. 지난해 5월 이후 1년 이상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치인 연 0.5%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지난해 66조8000억원, 올해 14조9000억원을 뿌렸다. 여기에 최대 35조원 규모의 2차 추경을 조만간 집행할 계획이다. 피해 계층 지원에 집중했던 지난 3월 1차 추경 때와 달리 최소 12조원 이상을 대다수 국민에게 현금으로 나눠줄 방침이다. 여기에 1조원 규모의 카드 캐시백 정책을 통해 민간소비 부양을 꾀하고 있다.
현재 경제 상황은 코로나19 위기의 한가운데 있던 지난해와 다르다. 작년 한국 경제는 외환위기 후 2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1.0%)을 기록했다. 올해는 수출 호조세 등에 힘입어 최소 3% 후반, 민간 소비와 투자가 받쳐주면 4%대 성장도 가능할 것이란 관측이다.
美 '고압경제' 기조 계속 펴더라도 달러수요 많아 인플레 관리 수월
정부와 여당은 미국의 사례를 들어 추경을 비롯한 돈 풀기를 정당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축통화국인 미국과 한국을 같은 선에서 비교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영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미국은 돈을 찍어도 달러를 필요로 하는 국가가 많아 인플레이션 압력을 관리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며 “한국과 미국을 같은 비교 선상에 놓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고압경제가 목표로 하는 것과 반대로 한국의 추경은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 회복 국면에 재정 지출을 늘리면 시장금리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민간 투자가 줄어드는 ‘구축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봤을 때 지금은 추경을 편성할 때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성장률을 목표로 한 당정의 고압경제 추구가 심각한 후유증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쏟아진다. 한 경제부처 관계자는 “하반기 물가 상승률을 누구도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저출산·고령화 등 중장기적 재정비용 증가가 예정된 가운데 물가 급등과 재정적자 증가는 향후 위기 대응력을 크게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돈을 뿌리면 당장은 자산 가격이 오르고 국민의 소득이 늘어나기 때문에 경제지표가 개선되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인플레이션과 구축효과 등 예상되는 부작용을 고려해 정부가 추경 편성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교수는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높을수록 경기 과열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며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3% 안팎인 상황에서 올해 4%대 이상의 성장이 확실시되는데도 추경을 또 편성하면 우려하던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3gRhbCM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슈퍼추경·초저금리…'고압경제 후폭풍'이 무섭다 - 한국경제"
Post a Comment